오늘은 한여름에도 그리 많지 않았는데 초가을 문턱에서 부쩍 많아진 모기 이야기를 할까 해요. 매년 여름부터 가을까지 집에 모기가 없던 적은 없었어요. 평균 하루에 1마리~3마리 정도는 있긴 했었는데요. 올해 유독 이상하게 안방 화장실에서 모기가 특히 아침에 발견이 되고 있어서 블로그 포스팅을 하게 됐어요.
전에도 화장실에서 모기와 날벌레를 종종 발견한 적이 있긴 했었어요.
그런데 여러 마리가 한꺼번에 그것도 아침(6시~7시쯤)에 화장실에 가려고 문을 딱 열었을 때 모기 여러 마리가 윙윙 날아다니면서 활개를 치고 있는 모습을 지금 3번째 마주하고 있어요.
잘 때 무서워서 일부러 안방 화장실문은 꼭 닫고 잤는데... 분명히 그 전날 밤에 모기가 있는지 다 확인하고 잔 건데 문 닫친 자그마한 화장실에 그 많은 모기가 도대체 어디서 들어온 건지... ㅡ,ㅡ?

다행히도 오랜 기간 동안 함께하고 있는 전기모기채로 6마리 모기를 전부 다 소탕했어요. 전기모기채 없었다면 빠른 시간 안에 하나도 놓치지 않고 다 잡기는 쉽지 않았을 거예요. 상상만 해도 아찔해요. 물론 모기약을 뿌려놓고 화장실문을 닫아놓으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최근에 그렇게 해놓고 2시간인가 지나고 문을 열었는데 모기 한 마리가 안 죽고 밖에 나와있더라고요. 그 모습을 보니 모기약도 직접적으로 뿌린 게 아니면 빨리 안 죽나 보다 싶었어요. 결국 그 모기도 전기모기채로 잡았었어요.
어쨌든 친구 이야기를 들어보니 요즘 모기가 많아진 건 사실인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집에서도 모기가 더 많이 출몰하는 것 같은데.. 왜 하필 거실 중간에 있는 큰 화장실이 아닌 안방 구석에 박혀있는 작은 화장실에서 그렇게 많은 모기가 나올 수 있는 건지 의문이 들었어요. 참고로 바닥 하수구는 덮개로 항상 막아두고 있고요. 나머지 틈은 몇 년 전 인테리어 공사를 했기 때문에 틈이라고 할만한 게 없어요. 다만 천장 환풍기가 그게 가장 의심스러운데... 거기에서 그렇게 많은 모기가 유입이 됐을 까요? 아.... 모르겠어요.
아니면 밖에서 날아다니던 녀석들이 저녁쯤에 슬슬 습도가 높고 어둡고 좁은 안방 화장실로 모이고 안 보이는 구석에 숨어있다가 새벽부터 날아다니기 시작하는 걸까요? 저는 그걸 아침에 일어나서 발견을 하는 걸까요?
아! 제가 이런 적이 한 번 있었어요.
안방 불을 끄고 자려고 누우면 얼마 안 있다가 윙하는 소리가 들리는 거예요. 그래서 바로 불을 켜면 대부분 저와 가까운 곳(검은색 책상 의자, 어두운 가구옆 등)에 가만히 붙어있는 모기를 발견하고 모기채로 잡았어요. 그게 며칠 이어졌고 그러면서 모기 소리에 예민해져 있었는데 어느 날 자려고 안방에 이부자리를 폈는데 그날도 화장실문은 닫아놓았어요. 그런데 윙~ 하는 모기소리가 뭔가 희미하게 들리는 거예요. 그래서 1시간인가 안방을 샅샅이 뒤졌죠. 그렇게 눈에 불을 켜고 봤는데 모기는 발견하지 못했어요.
아무래도 그동안 모기 소리에 예민해져서 이명이 들리나 보다 생각을 하고 잤는데 다음날 아침부터 안방 화장실에서 모기를 발견하게 된 거예요. 화장실에서 윙윙대며 난리를 치고 있더라고요. 제가 그 소리를 들었던 거예요. 어쨌든 오늘 포스팅을 하면서 이것저것 써보면서 화장실 모기 유입 경로를 유추해보고 있는데요. 마지막으로 네이버 대화형 ai 클로바X한테 물어봤는데 답변 내용 밑에 정리해 드릴게요.
화장실에 모기가 많이 발견되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습한 환경: 화장실은 샤워나 목욕 후 습기가 많이 차고 물이 고일 수 있어 모기가 번식하기 좋은 장소
2. 배수구: 모기가 유입되거나 알을 낳아 번식할 수 있는 통로
3. 환풍구: 틈이 있다면 모기가 들어올 수 있음
4. 창문, 문틀의 틈: 모기가 들어올 수 있는 통로
5. 출입문: 여닫을 때 모기가 따라올 수 있음
환풍구로 들어올 수도 있긴 한가 보네요. 거의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는데... 창문, 문틀의 경우 저희 집은 해당사항이 아닌 것 같아요. 창문이 없는 화장실이고요. 제가 잘 때 화장실 문을 꼭 닫고 잔다고 했잖아요. 그래서 그런지 모기들이 윙윙대기만 했지 밖으로 나오지 못했어요. 배수구는 덮개로 막았으니까 문제없고... 환풍구와 자기 전까지 열어놓는 화장실문이 가장 유력한데... 세면대 구멍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는 답변을 봐서 아무래도 저희 집 안방 화장실 유입 경로는 3곳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환풍구, 세면대 배수구, 화장실문이요.
이제 어느 정도 유입경로는 알았는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을 좀 더 해봐야 할 것 같아요. 싸우자 모기야! 다 없애주마!
'● 백싸리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랜만에 수협 파트너뱅크앱에서 적금 가입 좀 해보려고 했는데 안면인식 실패 ㅜ,ㅜ 내 얼굴 인식을 왜 못하니! (0) | 2025.03.28 |
---|---|
2025년 시작을 세번째 코로나와 함께~ (0) | 2025.02.13 |
지긋지긋한 2024년.. 2025년에는 제발 행복한 일만 가득하길! (0) | 2024.12.30 |
주식 넋두리, 업비트 코인거래 시작! 케이뱅크, 카카오톡인증서(또는 네이버인증서)로 원화 KRW 입출금가능 (0) | 2024.11.17 |
오랜만에 티스토리 글쓰는 중~ 슬럼프 극복하기, 극복 방법 클로바x 답변 (0) | 2024.06.07 |
2024년 청룡의 해! 새해 소원, 소망 적어보기 (0) | 2024.01.01 |
변기를 교체했더니 화장실 악취가 사라졌다. 전화위복! (0) | 2023.10.19 |
명절이 싫다. (0) | 2023.09.30 |
댓글